포스트

제 11회 한국청소년학술대회에 다녀오다

제 11회 한국청소년학술대회에 다녀오다

지난 1월 26일 토요일, 인천의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열리는 한국청소년학술대회, KSCY에 다녀왔다.

뭔가 목표나 목적이 있어서 간 건 아니다. 그냥 이전부터 지인들이 간간히 어떠한 형태로든 참여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기도 했고, 페이스북 광고로도 간간히 뜨길래 뭔가 흥미가 생겼던 것 같다.

사실 작년이나 재작년부터 참여하고 싶었는데 중학생이 혼자 먼 곳을 다녀오는 걸 쉽게 허락해줄 부모가 많지 않으니, 밀리고 밀리다 이제서야 친구들과 함께 갈 수 있게 되었다.

나도 그렇고 친구들도 뭔가 탐구활동 결과가 있는 건 아니어서 공학 분야의 컴퓨터공학 부분, ‘연구 멘토링 수업’으로 참여했다.

무엇을 했나?

연구 멘토링 부분은 다른 학생들의 소논문 발표를 듣고, 청소년으로서 어떤 연구활동을 할 것인지 멘토링 받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발표자도 같은 청소년들이어서 대부분의 발표 내용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나름 학술대회이니 무언가 신기한 코딩 아이디어 같은 것들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꼭 학술적인 무언가만 발표로 나온 건 아니었다.

단순히 앱 개발 키트로 앱을 개발한 경험담을 발표한 팀도 있었고, 어떤 이론을 구현해보자에 가까운 무언가를 발표한 팀도 있었다.

인상 깊었던 발표는 아무래도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테트리스 만들기’였는데, 인공지능을 사용해서 어려운 테트리스를 만드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다. 여럿이서 참여한 다른 참여자들과는 다르게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연구한 내용을 발표한 것이기도 했고, 인공지능 쪽에 크게 관심이 없었어서 인상 깊었던 걸지도 모르겠다. 대강 텐서플로우라는 라이브러리가 있다 정도만 알았었으니 말이다.

멘토로 나오신 분은 넥슨을 다니시는 Microsoft MVP인 분이셨다. 덕분에 멘토님한테서는 도움되는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었다.

마무리

“한국” 청소년 “학술대회”라길래 조금 겁먹고 참여한 감이 있었는데, 아무래도 발표 내용을 보니 나도 조금 더 노력해서 다음번엔 발표자로 참여해도 좋을 것 같다.

일단 좋은 발표 아이디어만 있으면 말이다..